양쯔강 돌고래는 영원히 사라졌나요?
백지돌고래(Lipotes vexillifer)라고도 알려진 양쯔강돌고래는 1990년대까지 중국의 양쯔강과 첸탕강에 서식하는 흰색 담수 돌고래였습니다.
바이지는 가늘게 뜨인 눈과 길고 이빨이 있고 부리처럼 생긴 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애호가들은 이 여신이 평화와 번영의 상징이자 바다에 사는 사람들의 수호신인 '양쯔강의 여신'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생물은 20년도 더 전에 사라졌습니다.
더 읽어보기: 강돌고래는 정말 독특하고 사라지고 있습니다
1950년대 후반 급격한 개체수 감소를 겪은 후, 살과 피부를 얻기 위한 사냥이 시작되면서 바이지는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포유류 종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1950년대 이후 첸탕강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1979년부터 1981년 사이에 양쯔강에서 최소 400마리를 발견했지만, 1990년대 후반의 조사에서는 단 13마리의 동물만 발견했습니다.
야생에서 확인되고 인증된 목격의 마지막 기록은 어부들이 전장시에서 임신한 암컷 백지의 시체를 발견한 2001년부터입니다. (그 이후로 어부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확인되지 않은 목격 사례가 여러 차례 나타났습니다.)
세계 유일의 양쯔강돌고래인 치치(Qi Qi)라는 수컷은 낚시로 인한 부상에서 구조된 후 22년 동안 중국 우한 수생생물학 연구소에서 살다가 2002년 7월 사망했다.
2006년에 환경 보호론자들은 이전에 바이지가 발견되었던 주요 양쯔강 수로 전체에 대한 6주간의 조사에 착수했을 때 바이지가 생존하고 있다는 어떤 증거도 찾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바이지 흰돌고래를 "기능적으로 멸종"했다고 선언해야 했습니다. 즉, 일부 개체가 여전히 어딘가에 존재하더라도 그 개체수는 더 이상 생존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더 읽어보기: 종이 멸종되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2006년에 조사 환경 보호 활동가 팀이 중국 부두를 떠났을 때 그들은 두 척의 배를 가지고 있었는데, 각 배에는 돌고래의 휘파람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시각 관찰자와 음향 장비로 구성된 팀이 있었습니다.
조사팀의 일원이자 사우스웨스트 수산과학센터(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의 수석 과학자인 바바라 테일러(Barbara Taylor)는 "조사가 진행되면서 우리는 보기가 훨씬 더 어려운 상괭이를 볼 수 있었지만 바이지를 보거나 듣지는 못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알다시피, 시계는 똑딱거립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우울해졌습니다. 그것은 꽤 영혼을 짓밟는 경험입니다."
그 이후로 상괭이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조사가 발표되었지만 바이지의 목격이 확인된 적은 없습니다. Taylor는 "우리는 말 그대로 몇 년 동안 관에 마지막 못을 박기를 기다려 왔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책 측면에서 보면, 연구자들이 종이 완전히 멸종했다고 주장하는 시점과 정책 입안자들이 종의 멸종을 선언하는 시점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이야기를 잘 알고 있습니다. 테일러는 비극적인 결말이 한 종의 멸종을 선언하는 문제에 대한 적절한 예시가 된다고 말했습니다.
셰익스피어의 이야기에서 줄리엣은 사람들이 자신이 죽었다고 생각하도록 속이기 위해 독약을 사용합니다. 불행히도 그녀는 로미오를 속이고 그는 그 (거짓) 지식에 따라 행동하고 자살합니다. 줄리엣은 깨어나 애인이 죽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번에는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Taylor는 바이지나 멸종 위기에 처한 유사한 생물에 대해 “멸종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멸종되지 않았으며 기존의 모든 보호 장치를 제거하면 실제로 멸종을 초래하는 것입니다.”라고 Taylor는 말합니다.
이는 생물 다양성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하게 설명하려는 보존 과학자들에게 딜레마를 야기합니다.
Taylor는 "특히 보기 어려운 해양 포유류의 경우 세상에 단 한 쌍도 남아 있지 않은지 말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인간이 고래 멸종을 직접 초래한 것이 이번이 처음인지에 대한 질문은 Biology Letters에 게재된 2006년 조사의 부족한 결과를 설명하는 논문의 제목입니다.